Issue

서울 시내버스 번호의 비밀

처음하루 2025. 4. 6. 09:14

서울의 시내버스는 도원교통을 포함한 여러 버스 운영회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이용 경험이 적은 승객이라도 노선번호를 통해 출발지와 도착지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2004년 준공영제를 도입하면서 서울을 8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에 맞춰 노선번호를 부여한 결과입니다.

서울 시내버스의 종류


서울의 시내버스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간선버스: 주로 주요 도로를 따라 운행하며,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노선번호는 세 자리 숫자로, 첫 번째 숫자는 출발권역, 두 번째는 도착권역을 나타냅니다.
  • 지선버스: 초록색으로 표시되며, 네 자리 숫자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자리 수는 출발권역, 두 번째는 도착권역, 후 두 자리 수는 일련번호를 의미합니다.
  • 광역버스: 붉은색으로 표시되며, 서울 외곽지역과 연결됩니다. 네 자리 숫자 중 첫 번째 숫자는 9로 시작하고, 두 번째 자리 수가 출발지를 표시합니다.
  • 순환버스: 노란색으로 표시되며,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특정 권역 내에서 순환하는 노선을 지칭합니다.
    서울에는 총 64개의 버스 회사가 있으며, 394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135개의 간선버스, 208개의 지선버스, 10개의 광역버스, 2개의 순환버스가 포함됩니다.

서울 버스 노선번호 이해하기


서울의 시내버스 노선번호는 아래와 같은 8개 권역으로 나눠집니다



0: 종로, 중구, 용산
1: 도봉, 강북, 성북, 노원
2: 동대문, 중랑, 성동, 광진
3: 강동, 송파
4: 서초, 강남
5: 동작, 관악, 금천
6: 강서, 양천, 영등포, 구로
7: 은평, 마포, 서대문
예시
171번: 1번 권역(동북권)에서 출발하여 7번 권역(서북권)으로 가는 첫 번째 노선.
110번: 동북권 안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으로, 출발지와 도착지가 동일하지만 별도의 회차지 없이 한쪽 방향으로만 운행됩니다.


지선 및 광역버스 이해하기

지선버스는 네 자리 숫자로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5714번은 5번 권역에서 출발하여 7번 권역에 도착하는 일련번호 14번인 노선입니다.

광역버스의 경우, 보통 경기도와 인천시의 차량이지만 서울시에 등록된 경우가 있습니다. 9401번은 4번 광역권에서 시작해 서울 도심으로 향하는 첫 번째 노선입니다.


서울의 시내버스 시스템은 명확한 노선 번호 체계를 통해 승객들이 보다 쉽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 덕분에 시민들과 방문객들은 복잡한 정보를 검색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노선번호는 변경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대중교통 시스템의 지속적인 발전은 서울 시민의 교통 편의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Issue'의 다른글

  • 현재글 서울 시내버스 번호의 비밀

관련글